하둡 명령어로
hdfs dfs -cat /out/part-r-00000 를 실행 했을 때 아래 사진과 같이 한글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.
chcp 65001로 변경하여도 font문제로 깨지는 현상이 발생해 해결방법을 찾아보았다.
chcp 65001 > nul 명령어를 사용했을 경우 일부 한글이 출력되기는 하나 정확하게 되지는 않았다.
해결방법
ConEmu 프로그램을 다운받은 후 chcp 65001 명령어를 입력하면 UTF-8 파일도 잘 보이게 된다.
ConEmu - Handy Windows Terminal
ConEmu-Maximus5 is a full-featured local terminal for Windows devs, admins and users. Get better console window with tabs, splits, Quake style, copy+paste, DosBox and PuTTY integration, and much more.
conemu.github.io
installer로 설치하자
다시 ConEmu에서 chcp 65001 명령어을 입력하고 hdfs dfs -cat /out/part-r-00000 를 실행하면 한글이 보인다.
이 방법도 깨지긴한다.
어차피 cmd 창에서만 깨지고 파일로 출력하면 한글로 잘 출력되기 때문에 별로 상관은 없다.
cmd 창은 ANSI 인코딩파일만 보이고 utf-8 파일은 깨져 보이는 문제를 해결해보았다.
왜 했지..
혹시 하둡을 사용한다면 하둡은 기본적으로 utf-8로 설정되어있으니 euc-kr 파일을 넣으면 한글이 깨지니 utf-8파일을 넣어주자. 구글에 검색하면 파일을 utf-8로 변경하는 내용이 잘 나와있다.
'2019백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 (0) | 2019.07.03 |
---|---|
set user (0) | 2019.07.03 |
스프링 에러 해결 (0) | 2019.06.26 |
10) 아키텍쳐의 개요 (0) | 2019.06.26 |
따라해볼만한 블로그 예제 (0) | 2019.06.26 |